Network

OSI 7계층과 각 계층별 주요장비

은지니어 2022. 9. 19. 18:05

네트워크 가장 기본인 OSI 7계층

 

OSI 7계층

OSI 7계층의 정리

 

 

OSI 7계층이 모든 현재 네트워크를 대변해주지는 않으며, 현대 네트워크에는 TCP/IP 4계층 모델이 더 선호되고 있다

 

📍TCP/IP 4계층은

네트워크 액세스 - 인터넷 - 트랜스포트 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나뉘며

각각  OSI7계층의 12/3/4/567 계층과 상응한다.

 

 

OSI 계층별로 주요 장비가 있다

주요 장비에 대해 알아보자

 

7계층 계층별 주요 프로토콜 및 장비

1계층 주요장비

1계층의 주요 장비에는 허브, 리피터, 

주요 장비인 허브, 리피터는 꼭 기억하도록 한다

 

허브
  • 3개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가 통신가능하게 함
  • 1:1통신은 LAN선을 통해 모든 장비들끼리 통신하게 도와줌
  • 하지만 어느곳에든 다 보내기 때문에 리소스 낭비가 심하고 보안이 좋지 않아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다.
  •  
리피터

100미터까지만 쓰고,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해주기 때문에 또 다른 리피터로 연결 시켜준다

케이블 = 랜선트랜시버 = 신호를 밖으로 주는 것

  • = 전기 신호를 다른 장비로 복제해서 신호를 보내주는 장비(도청하는 용도)
  • 커넥터 = 랜선과 랜선을 연결하는 것
  • 허브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전기 신호가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전송되는 계층

  1. 인접하고 근접한 신호끼리 통신하는 것
  2. ex) 블루투스 장비
  3. 물리적 주소(MAC 주소)로 각각의 통신 장비들을 구분한다
  4. 데이터에 대한 에러를 탐지하거나 고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오류체크기능)
  • 써킷통신(아날로그방식)
  • 패킷통신
    • 데이터 통신이 서로 교차가 되어도 상관 없음
    • 데이터가 더 안전하게 전달된다
    • 양방향 통신
    • 디지털 방식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계층 장비로 보는 사람도 있다)
  • 스위치 (Switch)각각의 다른 통신 장소(3개 이상)에서 mac주소를 보고 통신해주는 장비
  • 스위치 장비에는 LAN선을 꼽는 포트들이 많다
  • MAC 주소 = 물리적 주소 = 16진법 6바이트로 사용
  •  

스위치의 동작 방식

MAC주소 테이블 포트1 ~ 포트2로 연결

3계층

  1. 원격의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기능이 있음

ex) 한국에서 미국까지 통신하는 원거리 통신

  1. 다른 네트워크끼리 통신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계층
  2. ip 주소

ex) 192.168.10.36

왼쪽에 있는 숫자 = 네트워크 주소

오른쪽에 있는 두가지 주소 = 호스트 주소 , 각각의 장비 마다 매기는 주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지정해주는 주소

네트워크 주소는 아파트 동으로, 호스트 주소는 호로 이해하면 쉽다

  1. 같은 네트워크끼리 있는 것은 같은 장비로 사용할 수 있다
  2. (같은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다)
  • 라우팅
    • 원격지 네트워크를 가려면 어디로 가야 하는지 경로를 지정하는 능력
    • 게이트 웨이 역할을 함
    • 일반적으로는 공유기가 라우팅 역할, 게이트웨이 역할을 함

route print

→ 라우팅 테이블의 경로를 안내해줌

4계층

전송 계층

  1. 오류 체크, 흐름 제어
  2. 포트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분
  3. *포트

5계층

6계층

  1. 프레젠테이션 계층
  2. 인코딩, 압축, 암호화
  3. 데이터를 해석하고 변경하고 바꾸는 계층
  4. input - output

7계층

  1.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2. FTP, SMTP, HTTP, TELNET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3. 우리에게 서비스를 전달해주는 계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