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11

OSPF 프로토콜 방식과 동작 과정

OSPF 프로토콜이란? OSPF 프로토콜은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로 목적지 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매트릭은 코스트를 사용하며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 224.0.0.5 (DR이 DROTHER에게 전송할 때 사용) ✔ 224.0.0.6 (DROTHER가 DR에게 전송할 때 사용) OSFP의 장점 area 단위로 구성되어 대규모 네트워크를 안정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2 특정 area에서 발생하는 상세한 라우팅 정보를 다른 area에 전송하지 않아 큰 규모에서 안정되게 운영할 수 있다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컨버져스타임(convergence time)이 전반적으로 빠른 편이다 📍컨버져스타임(convergence time) 토폴로지 변화가 일어났을 때 이를 반영..

Network 2022.09.25

EIGRP 프로토콜 방식과 동작 과정

EIGRP 프로토콜 방식과 동작 과정 EIGRP (Enhanced Internet Gateway Routing Protocol) → IGRP를 개선 시킨 프로토콜로 다양한 정보를 통해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가지며 중대형네트워크에서 사용한다. 동적 라우팅으로 EIGRP는 RIP 와 같이 auto-summary가 기본값 장점과 단점 장점 빠른 수렴(Fast Convergence) 부하분산 지원(로드밸런스 설정 가능) OSPF에 비해 설정이 간단하다 단점 Cisco 전용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Cisco 장비에서만 동작한다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관리가 힘들다 EIGRP 패킷 Hello : 이웃(Neighbor) 일정 시간(interval 3배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Hello 패킷의 응답이 없고 받지..

Network 2022.09.24

Packet Tracer를 활용한 라우터 설정방법

Packet Tracer를 활용하여 라우터에 대해 이해해보자 패킷 트레이서는 교육의 실습을 위해 단순 컴퓨터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여 이해를 돕고자 만들어진 시스코사(Cisco)의 라우터 시뮬레이터 실습을 통해 라우터의 역할과 사용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패킷트레이서의 화면입니다 가상의 PC와 Switch Router를 만들어 conection 할 수 있습니다 PC의 ip와 라우터를 연결하는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해당 사진과 같이 PC에 ip 설정이 가능합니다. pc 아이콘을 누른 후 desktop - IP Configuration 을 들어가서 설정 가능합니다. (또한 실제 컴퓨터처럼 명령 프롬프트 CMD도 확인 가능합니다) IP 설정은 해당값을 입력하면 설정이 됩니다 pc의 ip값은 192.1..

Network 2022.09.23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와 기능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내부 게이트웨이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외부 게이트웨이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있다 IGP(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같은 AS 내부에서 라우팅에 사용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RIP IGRP EIGRP *Cisco 전용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OSPF IS-IS EGP(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인터넷을 통한 다른 AS 간에 라우팅을 위해 사용 경계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BGP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각 라우터가 직접 연결된 라우터들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네트워크의 목록 및 네트워크들과 자신 사이의 거리를 공유 라우터는 직접 연결된 이웃들과 그 이웃들로부터 통보를 받은 네트워크 목록에 대해서만 알게 되며 직접 ..

Network 2022.09.22

라우터의 개념과 기본적인 기능

라우터란 무엇일까? 라우터란 패킷이 목적지로 갈 수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 어느경로가 가장 최적의 경로인지 확인하고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뜻한다. 이 때 최적의 경로는 일반적으로 가장 빠르게 통신이 가능한 경로라고 할 수 있다. 라우터의 대표적인 기능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 주 목적이다. 라우터는 OSI 7계층 중 3계층에 속하는 장비이며 3계층이기 때문에 IP주소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단 전달할 때 서로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라우터의 기능 1. 경로설정(Path determination)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경로로 전송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일지 하고 경로를 설정한다. 2. 스위칭(switching) 경로가 설정되면 해당 경로로 데이터 패킷을 ..

Network 2022.09.22

Wireshark를 활용한 ARP Packet분석

Wireshark를 활용한 ARP Packet분석 📍wireshark를 활용한 ARP 프로토콜을 분석하기 와이어 샤크를 통해 ARP 파일을 확인하면 첫번째 IP(192.168.0.114)에서 패킷을 보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스트를 요청하는 ip는 192.168.0.114 mac 주소는 00:16:ce:de:8b:24 이다. info "who has 192.168.0.1" 은 해당 ip를 찾기 위해 전체에 패킷을 보낸 것을 알 수 있다(1: 다수로 패킷을 보냄) 이때 Ethernet 에서 패킷의 전송 방식이 브로드캐스트 인것을 확인할 수 있다. ARP 프로토콜 하드웨어 타입은 Ethernet , 6 이다 두번째 ip의 ARP 프로토콜을 확인하면 192.168.0.1에서 응답한 것을 확인할 수..

Network 2022.09.21

Wireshark를 활용한 ICMP Packet분석

Wireshark를 활용한 ICMP Packet분석 wireshark를 활용한 ICMP 프로토콜을 분석하기 와이어 샤크를 통해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info Echo ping request 를 통해 현재 192.168.0.1 아이피가 ICMP 요청을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해당 type 값이 8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echo 8로 TTL 값을 보내는 것을 뜻합니다. 다음으로 두번째 IP의 info에서 Echo ping reply 를 통해 192.168.0.114 아이피가 ICMP 응답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해당 type 값이 0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echo 0로 해당 패킷을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CMP 패킷의 TTL 값은 ip탭 부분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TL =..

Network 2022.09.20

ICMP 기능 및 메시지 유형

ICMP의 기능 및 메시지유형, 그리고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자 ICMP : IP를 보조해주는 3계층 상위 프로토콜로 3.1 계층 정도된다 . Ine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제어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ICMP에서 메시지들은 일반적으로 IP 동작에서 진단이나 제어, 오류에 대한 응답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ICMP 기능 타입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질의 메시지 상대방으로 부터 응답을 받기 위해 질문하는 것으로 0,8,13,14,15,16,17,18,9,10 유형이 이에 해당한다 오류 보고 메시지 상대방에게 오류가 난 것을 알리는 것으로 3,4,5,11,12 유형 등이 이에 해당한다. ICMP 프로토콜 헤더의 구조 ICMP헤더는 IP헤더 뒤에서 시작된다. I..

Network 2022.09.20

OSI 7계층과 각 계층별 주요장비

네트워크 가장 기본인 OSI 7계층 OSI 7계층 OSI 7계층이 모든 현재 네트워크를 대변해주지는 않으며, 현대 네트워크에는 TCP/IP 4계층 모델이 더 선호되고 있다 📍TCP/IP 4계층은 네트워크 액세스 - 인터넷 - 트랜스포트 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나뉘며 각각 OSI7계층의 12/3/4/567 계층과 상응한다. OSI 계층별로 주요 장비가 있다 주요 장비에 대해 알아보자 1계층 주요장비 1계층의 주요 장비에는 허브, 리피터, 주요 장비인 허브, 리피터는 꼭 기억하도록 한다 허브 3개 이상의 네트워크 장비가 통신가능하게 함 1:1통신은 LAN선을 통해 모든 장비들끼리 통신하게 도와줌 하지만 어느곳에든 다 보내기 때문에 리소스 낭비가 심하고 보안이 좋지 않아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다. 리피..

Network 2022.09.19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개념 이해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개념 이해 유니캐스트 1:1 통신 출발지와 목적지가 1:1로 통신하는 방식으로, 실제 대부분이 사용하는 통신이다 브로드캐스트 1: 모든통신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호스트가 목적지가 되는 통신 방식으로 모든 곳에 보내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진다 멀티캐스트 1: 그룹 통신 하나의 출발지에서 다수의 특정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신 방식으로 라디오방송 , 실시간 방송에 주로 사용된다.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일부 불특정 다수(특정 그룹) 에게 패킷을 전송함 통신 장비의 방식은 아래 그림과 같다 📌참고로 알아두면 좋은 방식 📚언노운유니캐스트 목적지 주소는 명확히 명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어디로 보낼 지 정해져있지 않기 때문에 전부에게 보냄 →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지..

Network 2022.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