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와 기능

은지니어 2022. 9. 22. 17:54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내부 게이트웨이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외부 게이트웨이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있다

 

IGP(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같은 AS 내부에서 라우팅에 사용

  •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 RIP
    • IGRP
    • EIGRP *Cisco 전용
  •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 OSPF
    • IS-IS

EGP(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인터넷을 통한 다른 AS 간에 라우팅을 위해 사용

경계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BGP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각 라우터가 직접 연결된 라우터들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네트워크의 목록 및 네트워크들과 자신 사이의 거리를 공유

라우터는 직접 연결된 이웃들과 그 이웃들로부터 통보를 받은 네트워크 목록에 대해서만 알게 되며 직접 연결된 이웃 너머의 상세 토폴로지 정보는 보유하지 않음

토폴로지 정보는 자기 자신과 이웃의 관점에서 만들어짐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Cost: 홉 카운트

 

라우터에 이웃한 라우터에게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각 라우터가 자신과 인터페이스가 직접 연결된 이웃 라우터에게 설명을 하며 계속 다른 라우터에게 그 설명이 전파됨

모든 라우터들은 인터페이스 정보(ip 등)와 각 인터페이스들이 어떻게 연결되었는 지를 포함하는 전체 정보를 학습하게 됨

토폴리지 정보는 어떤 라우터든 동일한 관점에서 만들어짐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라우터는 토폴리지의 전체적인 형태를 알고 있기 때문에, 보다 나은 라우팅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지만 더 많은 정보를 처리하는 만큼 라우터에 보다 많은 작업량이 생긴다.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Cost: 홉 카운트, 대역폭, 지연율 등

 

R1에서 모든 라우터들의 정보가 수집되어 토폴리지의 정보를 얻으며

모든 라우터들에게 수집된 정보들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교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 규모 소규모 네트워크 대규모 네트워크
장점 라우팅 테이블 크기가 작아 메모리가 절약된다
구성이 간단함
라우팅 정보 변화 시 변경된 정보를 전달 가능하다
거리와 대역폭에 따라 경로를 계산한다
단점 라우팅 정보 변화 시 전달이 느리다
주기적으로 라우팅 정보가 갱신되어 트래픽
낭비가 심하다
거리와 대역폭에 따라 경로가 계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메모리의 크기가 크다
네트워크정보 이웃네트워크에만 인식 및 전달 가능 전체 네트워크에 전달 및 인식이 가능하다
경로 계산 방식 홉  홉, 대역폭, 거리 등 다양한 변수를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