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EIGRP 프로토콜 방식과 동작 과정

은지니어 2022. 9. 24. 16:51
EIGRP 프로토콜 방식과 동작 과정

EIGRP (Enhanced Internet Gateway Routing Protocol) 

→ IGRP를 개선 시킨 프로토콜로 다양한 정보를 통해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가지며 중대형네트워크에서 사용한다. 

동적 라우팅으로 EIGRP는 RIP 와 같이 auto-summary가 기본값

 

 

장점과 단점

장점 

  • 빠른 수렴(Fast Convergence)
  • 부하분산 지원(로드밸런스 설정 가능)
  • OSPF에 비해 설정이 간단하다

 

단점

  • Cisco 전용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Cisco 장비에서만 동작한다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관리가 힘들다 

 

EIGRP 패킷

EIGRP 패킷의 종류

 

  • Hello : 이웃(Neighbor) 일정 시간(interval 3배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Hello 패킷의 응답이 없고 받지 못하면
    오류로 판단하여 이웃 관계를 해제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경우 30 초 ,5초에 한번씩 패킷을 보내 주고받으며 이웃을 유지한다)
  • Update : 라우팅 정보를 전달
  • Query :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며 유니캐스트로 전송된다
  • Reply : Query packet을 수신한 Router가 요청받은 라우팅 정보를 전송 (항상 유니캐스트)
  • Ack : 각각의 패킷에 대해 응답해주는 패킷 (Ack와 Hello 패킷에 대해서는 수신을 확인하지 않음)

 

EIGRP 동작 과정

라우팅 경로를 계산하는 절차라고도 한다

 

  1. Hello packet을 통해 이웃 라우터의 정보를 서로 확인한 후 Neighbor 관계를 맺고 Neighbor table 생성
  2. 서로 받은 packet을 통해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여 Topology table 생성
  3. 수집된 Topology table 정보를 종합하여 수학적 알고리즘을 통해 라우팅 경로를 계산하고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여 Routing table 에 저장한다. 
EIGRP의 설정 방법들(Table)

Neighbor Table(이웃 테이블)

Topology Table(토폴로지 테이블)

 

1) neighbor table 과 topology table 확인 방법

(config) # show ip eigrp neighbors
(config) # show ip eigrp topology

 

neighbor table 과 topology table

 

2) EIGRP 설정법

router(config)# router eigrp <AS-Number>
        AS 번호를 지정해야하며(1~65535), EIGRP로 동작하는 모든 라우터는 동일한 AS번호를 가져야한다
router(config-router)#network <network-number> <wildcard mask>
router(config-router)#network <network-number> <wildcard mask>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AS(Autonomous System)란 ?

자율식별번호로 동일한 라우팅 정책으로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보통 같은 조직이나 회사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를 뜻하며 각각의 AS 를 구분하는 AS식별번호를 ASN(ASNumber)이라고 한다

라우터는 인터넷 상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의 도달 정보를 모두 가질 필요는 없으며 자기가 속한 AS 내의 라우터에 대한 도달 정보만 가지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