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프로토콜이란?
OSPF 프로토콜은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로 목적지 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매트릭은 코스트를 사용하며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 224.0.0.5 (DR이 DROTHER에게 전송할 때 사용)
✔ 224.0.0.6 (DROTHER가 DR에게 전송할 때 사용)
OSFP의 장점
- area 단위로 구성되어 대규모 네트워크를 안정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2
- 특정 area에서 발생하는 상세한 라우팅 정보를 다른 area에 전송하지 않아 큰 규모에서 안정되게 운영할 수 있다
-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컨버져스타임(convergence time)이 전반적으로 빠른 편이다
📍컨버져스타임(convergence time)
토폴로지 변화가 일어났을 때 이를 반영한 네트워크가 재구성될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새로운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기 까지 걸리는 시간)
OSPF Packet
🔹 OSFP의 패킷과 설정 방법
- OSPF를 설정한 라우터끼리 hello packet을 교환하여 Neighbor 또는 adjancent Neighbor를 맺음
📍adjancent Neighbor : OSFP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Neighbor - 라우팅 정보를 교환 후 Link-state Database에 저장한다
- 라우팅 정보를 모두 교환하고 SPF(Shortest Path First) 또는 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계산 후 Routing table에 올림
- 그 후에도 주기적으로 hello packet을 교환하면서 정상 동작중인지 확인
- 네트워크의 상태가 변하면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Routing table 생성
OSFP 패킷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1. hello packet
- OSPF가 설정된 인접한 라우터간 이웃관계를 만들고 유지할 때 사용하는 패킷이다
- OSPF가 설정된 인터페이스에서 서로 hello packet을 교환하여 이웃관계를 맺는다
이웃 관계를 맺은 후에도 일정 주기로 패킷을 전송하고 정해진 주기 안에 상대방에게 hello 패킷을 수신받지 못하면 해당 네이버에 문제가 생긴걸로 간주하고 네이버 관계를 끊음
(EIGRP 와 같음)
2. DBD packet
- Database Drescripsion Packet의 약자
- OSPF는 자신이 만든 네트워크 정보와 이웃에게 전송받은 네트워크 정보를 Link state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네트워크 정보를 LSA(Link state advertisement)라고 부른다 - 이때 DBD packet은 OSPF 라우터의 link state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LSA들의 요약된 정보를 알려준다.
- LSA를 교환하기 전에 자신의 link state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요약된 LSA 정보들을 이웃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3. LSR packet
- 이웃에게 전송받은 DBD packet에 자신의 link state 에 정보가 없는 네트워크가 있다면 그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LSA)를 요청할 때 사용되는 패킷이다
4. LSU packet
- 자신이 알고있는 네트워크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정보를 전달하고 변경하는 패킷
5. LSAck packet
- OSPF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려줄 때 사용한다
(DBD, LSR, LSU 패킷을 수신하면 LS ACK 패킷을 사용하여 수신받았음을 상대방에게 전달함)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EIGRP 프로토콜 방식과 동작 과정 (0) | 2022.09.24 |
---|---|
Packet Tracer를 활용한 라우터 설정방법 (2) | 2022.09.23 |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와 기능 (0) | 2022.09.22 |
라우터의 개념과 기본적인 기능 (0) | 2022.09.22 |
Wireshark를 활용한 ARP Packet분석 (2) | 2022.09.21 |